청년도약계좌는 매달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하면 만기 시 약 5,00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정책형 금융 상품입니다. 월 70만 원에 정부 기여금 6%를 더해서 74만 2천 원을 5년간 모으면 4,452만 원이 됩니다. 여기에 시중금리에 따라 각 은행이 제공하는 이자가 더해져 만기 시 최대 약 5,00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들의 중장기 목돈 마련을 돕기 위한 이번 정부의 청년 핵심 공약으로서 2023년 6월 출시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혜택

청년도약계좌
연령기준  만 19~34세 청년 (병역이행기간 제외)
소득기준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및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납입금액  월 최대 40~70만원
정부기여금  소득, 납입금액에 따라 3~6% (월 지급)
납입기간  5년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은 나이는 만 19~34세의 청년으로(병역이행기간 제외) 개인소득이 6,000만 원 이하이고 가구소득이 중위 180% 이하여야 합니다. 2023년 가구소득 중위 180% 금액은 1인 가구 기준으로 3,740,206원, 2인 가구는 6,221,079원, 3인 가구는 7,982,669원, 4인 가구는 9,721,735원, 5인 가구는 11,395,238원, 6인 가구는 13,010,366원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3,740,206원 6,221,079원 7,982,669원 9,721,735원 11,395,238원 13,010,366원

월 납입금액은 40만 원에서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 납입기간(의무 가입기간)은 5년입니다. 정부기여금은 소득과 납입금액에 따라 3%에서 최대 6%까지 월 지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기여금에 은행이자까지 더해져 월 70만 원씩 5년 만기가 되면 약 5,000만 원을 받을 수 있으며, 해당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까지 주어집니다.

 

 

청년희망적금 중복

청년도약계좌는 올해 6월에 출시될 예정이며, 아직 세부시행지침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청년희망적금과 중복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의 경우 지원대상군, 지원 방법 및 성격 등이 비슷한 경우 중복해서 혜택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들이 청년도약계좌에 중복해서 가입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정해진 내용이 아직 없기 때문에 청년희망적금 기존 가입자들께서는 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되기 전 세부시행지침이 나올 때까지 예의주시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비교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연령기준(동일)  만 19~34세 청년 (병역이행기간 제외)
소득기준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및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개인소득 3,6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납입금액 최대 70만원 최대 50만원
납입기간 5년 2년
만기시 최대 금액 5,000만원(이자 800만원) 1,298.5만원(이자 98만5천원)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을 비교해 보면 우선, 가입 대상의 연령 기준은 만 19~34세 청년 (병역이행기간 제외)으로 동일합니다. 청년도약계좌가 청년희망적금보다 소득기준은 크게 완화되었지만, 납입기간이 2년에서 5년으로 크게 늘어났습니다. 현재 청년희망적금 기존 가입자들 중에서 고물가, 고금리 부담에 따라 중도해지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소득기준이 완화되었지만 5년을 납입해야 하는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에 비해서 얼마나 많은 가입자와 중도해지가 발생할지 궁금해집니다.

청년도약계좌 관련 세부시행지침이나, 새로운 정보가 확인되면 새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 Recent posts